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련

n번방 박사 조주빈의 공범 아스퍼거 증후군?

by 리뷰임박사 2020. 4. 1.

n번방 박사 조주빈과 공범 아스퍼거 증후군?

"조주빈과 함께 범행을 모의한 강씨가 심신미약을 주장하며 '아스퍼거 증후군'을 근거로 들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지난 28일 채널A는 조주빈의 공범인 강씨가 항소심 재판과정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을 내세우며 심신미약을 주장을 했다고 보도했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대체 뭐길래? 자세히 알아보자!

 

아스퍼거증후군

[ Asperger’s syndrome ]

아스퍼거 증후군은 만성 신경정신 질환으로 언어발달 지연과 사회적응의 발달이 지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 질환을 가진 환아들은 다른 사람들의 느낌을 이해하지 못하고, 고집이 비정상적으로 셉니다. 또한 의사소통을 잘하지 못하고, 사회적 신호에도 무감각하며, 특별히 관심 있는 것에만 강박적으로 빠져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목차

  1. 개요
  2. 증상
  3. 원인
  4. 진단
  5. 치료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개요

아스퍼거 증후군은 만성 신경정신 질환으로 언어발달 지연과 사회적응의 발달이 지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 질환을 가진 환아들은 다른 사람들의 느낌을 이해하지 못하고, 고집이 비정상적으로 셉니다. 또한 의사소통을 잘하지 못하고, 사회적 신호에도 무감각하며, 특별히 관심 있는 것에만 강박적으로 빠져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영향을 미칩니다. 일본과 캐나다의 조사에 의하면 약 10,000명당 10명 정도로 지금까지 알려졌던 빈도보다 더 흔할 수 있다고 추정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성 장애, 레트장애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 기타 전반적 발달장애(PDD-NOS) 질환과 함께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PDD)에 속합니다.

 

 

2. 증상

아스퍼거 증후군 환아가 보이는 가장 특징적인 문제는 사회적인 상호 교류가 어려운 것입니다. 환아는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 행동과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대부분 아스퍼거 증후군의 증상은 세 살 이전에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어린 시절에 환아들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회적 충족이 결핍되었을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상상놀이가 결여되거나, 상상놀이가 반복적일 수 있습니다.

 

말하기는 보통 또래와 비슷하게 시작하지만, 좋아하는 주제에 대해서만 반복적인 대화를 하는 등의 언어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의 대화는 대개 그들 자신이 중심입니다. 대명사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못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문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그들 자신을 제 2의 또는 제3의 사람으로 언급할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인 소통 역시 영향을 받습니다. 환자는 화가 날 때 등 자신의 감정이 강할 때를 제외하고는 좀처럼 얼굴에 표정을 짓지 않습니다. 목소리는 단조롭고, 몸짓은 제한되어있으며, 때때로 서투르고 부적절합니다. 경우에 따라 걷는 것 또한 지연되기도 합니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환아가 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아들은 또래관계 생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들의 행동은 순진하고 별나며,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아들은 언어성 지능에 비하여 동작성 지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동작이 서투르고 어색합니다. 운동 기술이 서툴기 때문에 게임을 하거나 그림 그리기, 쓰기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수학,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융통성 없이 일상생활을 반복합니다.

 

관심 있는 한 두 개의 주제에 과도한 집중을 보이거나, 천문학, 기차시간표, 전화번호책 등 특별한 부분에서 대단한 기억력을 보이기도 합니다. 일부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에서는 음악적 능력이 뛰어난 경우도 있습니다.

사회성이 결여되고 언어소통 역시 부족하므로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고 쉽게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 환아들은 타인의 관심사를 공유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그들은 타인과 다르다는 사실을 사춘기쯤 깨닫게 됩니다.

 

 

3. 원인

아스퍼거 증후군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여러가지 다른 신체요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데, 환자의 상당수는 출생 전이나 출생 중 또는 출생 후에 대뇌 손상을 일으키는 산소결핍과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연구에서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의 뇌는 정상인보다 소뇌의 유출 경로(outflow pathway)에 이상이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그래서 사회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소뇌의 반응(feedback input)을 대뇌에서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한편, 아스퍼거 증후군에서 유전의 역할은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4. 진단

 

진단 기준
사회적 상호교류의 질적인 장애가 일어납니다. 비언어적 행동이나 사회적 상호 행동에 장애가 발생하며, 발달수준에 적합한 친구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욕구가 결여되어 있으며,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교류가 부족합니다. 다음 중 적어도 2개가 나타납니다.

 

- 눈과 눈의 응시, 얼굴 표정, 몸의 자세,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태도와 같은 다수의 비언어적인 행동에 장애가 있습니다.
- 또래관계 형성이 어렵습니다.
- 자발적으로 즐거움, 관심, 타인과의 성취 공유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 사회적 또는 감정적 상호관계가 부족합니다.

행동, 관심 및 활동이 한정되고,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양상이 최소 1가지 이상 타나며, 다음 중 적어도 1개가 나타납니다.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심사에 비정상적으로 집중하고, 상동적이고 제한된 패턴으로 집착합니다.
- 특수하고 비 기능적인 일상이나 의식에 대해 완고한 고집을 부립니다.
- 상동적이고 반복되는 움직임(예를 들어 손 또는 손가락 퍼덕이기 또는 비틀기, 또는 복잡한 몸 전체의 움직임 등)을 보입니다.
- 지속적인 집착을 보입니다.
사회 활동, 직업 등 다른 중요한 부분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기능의 손상을 일으킵니다.
언어발달이 지연되지는 않습니다.
소아기에 인지 발달이나 자기보호 기술 및 적응 행동이 지연 없이 발달합니다.
기준은 다른 특유한 전반적인 발달장애 또는 정신분열증과 겹치지 않습니다.

 

산정특례 진단기준 :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5. 치료

아스퍼거 증후군을 위한 치유나 치료의 표준화된 방침은 없습니다. 치료는 증상 치료와 재활 치료, 그리고 심리사회적과 신경약리학적 중재가 있습니다. 심리 요법, 부모 교육, 그리고 환자에게 특수한 사회 기술의 훈련이 있습니다. 특정 사회 기술에서 영향 받은 개인의 훈련과 부모교육, 심리 요법이 포함됩니다. 약물요법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환아들이 다른 형태의 전반적 발달장애를 가진 환아들보다 예후가 좋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는 성인기가 되어서 생산적이고, 독립적으로 살아갑니다.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Woodbury-Smith MR, Volkmar FR. Asperger syndrome.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8 Jun 18.
Catani M, Jones DK, Daly E, Embiricos N, Deeley Q, Pugliese L et al. Altered cerebellar feedback projections in Asperger syndrome. Neuroimage. 2008 Jul 15;41(4):1184-91.
이영식, 송동호, 신경정신의학. 2nd edition. 24장. 소아청소년기에 특징적인 정신장애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편저.
http://www.rarediseases.org
http://www.udel.edu/bkirby/asperger/aswhatisit.html
http://en.wikipedia.org/wiki/Asperger_syndrome
http://www.kmle.co.kr/
http://100.naver.com/

 

 

글 출처

제공처 정보

희귀질환정보 http://helpline.nih.go.kr/

제공처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헬프라인 http://helpline.nih.go.kr/

댓글